Jiwift

개발자도 피할 수 없는 구조조정 본문

잡담

개발자도 피할 수 없는 구조조정

지위프트 2025. 4. 8. 11:14
반응형

개발자도 피할 수 없는 구조조정

 

 요즘 시장이 많이 좋지 않다. 주식, 코인 할 것 없이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. 그럼에도 미국은 실업률이 낮다고 한다. 부러운 나라이다. 한국도 잘 나가면서 노력, 운, 시기를 잘 타는 사람들은 걱정이 없다. 하지만 현실적 이게도 대부분은 아닐 것이다. 

 

 코로나 때 많은 돈이 풀리고 어찌어찌 지나갔지만 그 후 경기가 회복이 되지 않고 있다. 취업도 많이 안 되고 신입을 선호하지 않는다. 그렇다고 경력자라고 이직이 쉬운 것도 아니다. 지금 상황에서는 누군가에게는 버틸 수 있는 것도 부러운 상황일 것이다. 

 

 이 문제는 IT 업계도 피해 갈 수 없다. 코로나 때 올라버린 개발자 몸값과 인기는 코로나가 끝나자마자 같이 없어졌다. 취업이라도 되면 다행이라고 생각된다. 이젠 0년 차부터 10년 차까지 같이 경쟁해야 할 상황이다. 

 

 우리 회사도 어려움을 피하지는 못했다. 누군가는 나가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. 회사 입장에서 사람을 정리하는 것도 이해를 못 하는 것이 아니다. 명분은 충분하게 이해된다. 그렇다고 나가는 사람들이 못하는 것도 아니고 놀고 다닌 것도 아니다. 그냥 지금 이 시기가 너무 야속할 뿐이다.

 

 스마트폰이 나오고 네이버, 카카오, 라인, 쿠팡 같은 기업들이 성장하면서 이끌었던 개발자 붐은 하락을 거치면서 여기까지 왔다고 본다. 하지만 앞으로 언제 좋아질 수 있을까... 개발자 우대? 잘한다? 좋다?라는 이미지에서 일반적인 이미지로 바뀌어가고 있기 때문이다. 

 

 이젠 누구나 개발을 할 수 있고, 누구나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. 개발도 예전보다는 많이 접하고 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AI를 통해서 쉽게 MVP를 만들 수 있다.

 

 "컴퓨터 -> 인터넷 -> 스마트폰" 같이 시장들이 넘어가는 순간에는 변화를 생각하는 기대와 수요 덕분에 개발자들에게는 좋은 시기이다. 다음 시기가 언제 올지 매우 궁금하기도 하다. 개발하는 게 편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 시기가 와도 예전만큼 크게 개발 노동자의 수요가 안 올 수도 있다. 

 

 정말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. 이런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의 젊은 사람들은 가난하게 시작해서 변화가 없고, 나이 든 세대들은 모아둔 돈을 사용하며 가난해지고 있다. 부지런하게 아르바이트를 통해서 회사원만큼 버는 분들도 있다. 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세상에 뛰어드는 사람들도 있다. 정답이 없는 세상이다.

 

 그래서 요즘은 시간이 나면 책을 읽고 있다. 유튜브로 과학, 정치, 세계 내용도 보고 있다. 한 번에 많이는 못하지만 그래도 하나하나 보고 알아가며 변화와 지식을 넓혀가고 있다. 지금 개발자를 도전하는 취업 준비생 혹은 다니던 회사가 어려워서 그만두신 분들 모두 도전하는 재미와 걱정과 두려움이 왔다 갔다 하실 것 같다는 생각이다. 그래도 하루 중 작은 시간이라도 본인을 위한 지식을 넓히고 시야를 넓게 가지고 가는 시간을 챙겨보셨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.

 

 

(개인적인 생각을 두서없이 작성하였습니다.)

반응형